[영상 플랫폼 전쟁2] 유튜브 vs 네이버 vs 카카오

저번 편에 이어, 콘텐츠 전쟁에 접어든

영상 플랫폼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국내 동영상 시장, 

플랫폼 대전의 서막이 올랐다. 


유튜브가 승기를 휘어잡은 가운데, 

네이버와 카카오 등 국내 1~2위 

플랫폼 사업자들이 고군분투 하는 

모양새다. 넷플릭스와 페이스북 등  

다른 글로벌 사업자들 역시도 

공격적으로 진입하고 있다. 


유튜브의 선전은 

시사하는 바가 많다. 

검색 마저도 유튜브를 거친다는 

1020세대들을 통해 검색의 

패러다임이 텍스트에서 동영상으로 

전환되었다는 변화를 체감하게 된다. 


유튜브의 절대적 강점은 즉각적이며 

다양하고 광범위한 콘텐츠다. 

국내 사업자에 비해 심의 및 제재 

등에서 빠져나갈 수 있는 여지가 

더 큰 글로벌 사업자의 독주에 

국내 사업자들의 볼멘소리가 

나올 수 밖에 없는 배경이다. 

망 사용료 역시도 여전히 

뜨거운 감자다. 


과연, 국내 동영상 시장의 흐름에 

반전이 일어날 수 있을까.





/


(출처: mediasr)



국내 영상 시장의 대세인 유튜브는 최근 프리미엄 

서비스를 내놓았다. 

지난 2015년 선보였던 유료 서비스 '레드'와 

다른 점은 음악 감상이다. 

광고 없이 영상을 볼 수 있고 음악을 들을 수 있다. 

또 백그라운드 재생과 다운로드를 지원한다. 

유튜브 자체 독점 콘텐츠도 시청할 수 있다.



기존 유튜브의 인기 동영상 중 상당수가 

베보(VEVO)등 뮤직 비디오 스트리핑 플랫폼의 

영상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유튜브의 본격적인 

유/무료 음악 서비스 사업에 국내 여타의 음원 

사이트들도 긴장하는 눈치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구태여 다른 앱을 또 거치느니 

유튜브 앱을 이용하며 백그라운드로 음악 감상까지 

하게 된다면 더 없이 편리하다. 


실제 지난 22일 한국인터넷기업협회가 발표한 

'모바일 이용행태 보고서'에 따르면 모바일 

서비스로 음악 감상시 주로 어떤 앱을 사용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75.4%가 유튜브를 꼽았다. 

2위인 멜론은 47.4%였다. 

국내 최대 음원 사이트인 멜론이 체면을 

구긴 셈이다.





/

유튜브는 검색의 패러다임도 바꾸고 있다.



지난해 모바일 앱 분석 업체 와이즈앱 발표에 

따르면, 국내에서 10~20대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앱은 유튜브였다. 

10대의 유튜브 총 사용시간은 1억2900만 

시간으로 1위로 집계됐다. 

이는 2위 카카오톡(4300만 시간)보다 3배나 

높은 수치다. 

이들은 검색 역시 네이버나 카카오가 아닌 

유튜브를 이용한다. 

검색 시장이 기존 포털에서 모바일 앱으로, 

텍스트에서 동영상으로 전환되고 있다는 신호다.



10대가 주도하는 변화이지만 기성세대 역시도 

유튜브를 즐겨 사용한다. 

유튜브를 애용하는 30대 직장인 윤석현 씨는 

"유튜브는 (영상) 자료가 방대하다. 

검색이 용이하고, 원하는 자료가 많다. 

또 기존 검색 정보를 바탕으로 유튜브에서 

추천 영상을 보여주는데, 관심이 가는 맞춤형 

영상이라 보게 된다. 


정보가 오픈되어 있다는 점도 편리하다. 

네이버 등 포털의 경우에는 블로그 정보는 

다 오픈되어 있지만 일부 카페의 경우에는 

가입 절차를 거쳐야만 정보를 볼 수 있는 

불편함도 있었다. 

유튜브에는 이런 허들이 없다는 점이 

큰 장점이다"라고 전했다.





/

유튜브 컨텐츠의 특징은 다양성이다.



전문 채널에서 제작하는 영상도 상당수이지만, 

크리에이터와 같은 1인 미디어 제작 영상도 

유튜브를 발판 삼아 성장했다. 

최근에는 이용자들이 직접 영상을 제작해 

소통하기도 한다. 

마치 과거 블로그 등 플랫폼을 이용해 이용자들이 

직접 컨텐츠를 만들어 소통하는 것과 같은 모양새다.




이 같은 분위기를 가장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곳은 아무래도 네이버나 카카오와 같은 

포털이다. 

지난 2월 한성숙 네이버 대표이사는 

"유튜브의 이용성향이 단순한 동영상 시청에서 

검색으로 확대되고 있다"라며 

"유튜브는 동영상 분야의 경쟁자가 아닌 

플랫폼 자체 경쟁자로 떠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

유튜브 속 영상 콘텐츠를 선호하는 시대적 분위기에 발맞추기 위해 

최근 네이버와 카카오 역시 영상 부문의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



네이버의 동영상 주력 콘텐츠는 국내와 글로벌, 

두 카테고리로 나뉘어져 바라봐야 한다. 

국내의 경우,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와 방송사 

콘텐츠를 수급해 VOD와 라이브로 서비스하는 

네이버TV가 있다. 

또 글로벌의 경우에는 셀러브리티가 직접 출연해 

팬과 소통하는 라이브 플랫폼, 브이라이브가 

주력 사업이다.



지난 해 웹 콘텐츠 시장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둔 '연애플레이리스트'와 같은 웹드라마 역시 

네이버의 자회사에서 제작된 콘텐츠이며, 

최근 칠십이초TV에의 투자 역시 콘텐츠 확보를 

위한 포섭이다. 여기에 더해 유튜브를 견제하는 

하우투 영상 즉, 검색에 대응할 수 있는 영상 

콘텐츠 확보에도 신경을 쓰고 있다. 


네이버가 최근 바풀 및 쉐프클럽 등 국내외 

스타트업과 손잡은 배경도 여기에 있다. 

수학문제 풀이 서비스인 바풀이나 요리법을 

알려주는 쉐프 클럽 등은 모두 검색에 대응할 수 

있는 교육 콘텐츠 및 하우투 영상이다.  

이외에도 네이버는 크리에이터를 기획·발굴하는 

뷰스타(뷰티 크리에이터)와 같은 프로그램도 

지속적으로 운영 중이다. 

양질의 동영상 콘텐츠를 확보하기 위해 만전을 

기하고 있는 네이버다.






카카오는 최근 멜론을 서비스하는 카카오M과 

합병을 결정했다. 

카카오M의 주력 사업은 음원 서비스 멜론이지만, 

크리스피 스튜디오나 메가콘스터와 같은 

영상 제작도 있다. 

음악을 비롯해, 오리지널 영상 콘텐츠를 강화해 

콘텐츠 유통 플랫폼으로서의 입지를 굳히겠다는 

카카오의 의지인 셈이다.



기존의 무료 영상 기반의 카카오TV와 유료 영상 

기반의 카카오 페이지 등의 플랫폼을 통해 

이들 콘텐츠를 본격 활용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카카오는 크리에이터들의 유입 및 

게임 콘텐츠를 비롯해 스포츠 중계 등에도 

신경을 쓰고 있다.



이처럼 영상 시장은 선두 주자의 독주와 나름 

전략을 가지고 쫓아가려 애쓰는 후발 주자의 

싸움으로 요약해볼 수 있다. 

하지만 진정한 성공을 저울질 하는 것은 역시 

'수익성'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유튜브가 승기를 휘어잡은 

것이라고 하지만 이면에는 실 영업이익이 

그리 높지 않다는 이야기도 있다. 

영상이라는 것이 아직은 투자 대비 효율성이 

그리 좋지 않다"라고 전했다. 


또 다른 제작 관계자는 "젊은 층이 네이버를 

안보는 것이 사실이고 문화 자체가 유튜브로 

넘어간 것이라고 보고 있다. 

하지만 유튜브의 경우에는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이다 보니 전문 채널 콘텐츠가 확산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제작자 입장에서 다자간 전략적인 수익성 사업을 

하기에는 예측 가능한 네이버를 선호하게 된다"고 

전했다. 



플랫폼의 점유율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수익성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는 플랫폼을 통해 소비되는 

콘텐츠의 성격 및 매출로의 영향성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게 된다. 

어쩌면 진정한 승자는 아직 판별되지 

않을 것일 수도 있다.





/

동영상 전쟁 시대, 

Z세대를 잡아라




바야흐로 동영상 시대다. 


출근길 심심함을 달래려 고양이 영상을 본다. 

재미있는 상황이 있으면 찍어서 바로 SNS에 올린다. 

친구들과 동영상을 주고받으며 소통한다. 

여행 가기 전 다른 사람이 찍어 올린 여행 리뷰 

영상이 있는지 찾아본다. 

관심 있는 철학가가 있으면 철학 강의 영상을 검색해 본다. 



동영상은 어느새 우리 삶 깊숙이 들어와 있다.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CEO는 2016년 

"앞으로 5년 안에 동영상이 글과 사진을 뛰어넘어 

온라인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콘텐츠가 될 것"

이라 선언했다. 

2년이 지난 지금, 그가 말한대로 흘러가고 있다. 



동영상 시대가 도래하면서 최다 이용자를 보유한 

유튜브를 비롯해 네이버TV, 카카오Tv, 

아프리카TV 등 동영상 플랫폼들도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들이 잡아야 할 소비자층은 누구일까? 

바로, 동영상 트렌드를 주도하는 Z세대다.



Z세대는 1995년 이후 출생한 이들을 말한다. 

Z세대는 어린 시절부터 자연스럽게 일상생활에서 

디지털 기기를 사용했다. 

아날로그에 대한 경험이 없어 이전 세대보다 

디지털을 더 빨리, 쉽게 받아들인다.




/

Z세대: 텍스트, 이미지보다 

영상이 더 익숙한 세대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Z세대는 PC, TV보다 

모바일을 더 많이 사용하며 하루 평균 6시간 

이상을 스마트폰에 할애한다. 

81년생부터 95년생까지를 지칭하는 Y세대, 

61년생부터 80년생까지의 X세대, 60년 이전 

출생자 아날로그 세대까지 전 세대를 통틀어 

Z세대가 가장 스마트폰 이용 시간이 길었다. 



Z세대는 동영상에 익숙하다. 

Z세대는 타 세대보다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스노우 등 사진과 동영상을 공유하고 

소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많이 이용한다. 

닐슨코리아의 조사(2017) 결과, Z세대의 86%가 

유튜브를 쓰고 있고, 페이스북은 61%, 

인스타그램은 34%였다. 

정보탐색, 금융, 생활 연계 서비스 등을 주로 

사용하는 타 세대와는 다른 양상이다. 



Z세대는 텍스트 위주인 포털 검색 서비스보다 

동영상 검색을 더 많이 하는 모습을 보인다. 

많은 Z세대가 검색을 위해 네이버가 아니라, 

유튜브에 들어간다. 불과 5년 전과는 다른 

양상을 띤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이사도 

지난 2월 '네이버 커넥트 2018'에서 

"유튜브의 이용성향이 단순한 동영상 시청에서 

검색으로 확대되고 있다"고 인정한 바 있다. 




/

세대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커버리지 ⁴ TOP 15 


자료: Nielsen Koreanclick Mobile 

Behavioral Data (2017.02)






/

Z세대: 수동적 소비가 아닌, 

적극적 세대


Z세대는 TV에서 보여주는 방송 프로그램을 

소비했던 과거 세대와 달리, 라이브 방송에 

참여하거나 직접 영상을 제작하는 등 적극적인 

'크리에이터'로 나서고 있다. 

누구나 직접 콘텐츠에 참여, 제작, 공유할 수 있는 

아프리카TV, 유튜브 등이 인기를 끈 이유다.  



이들은 개인적인 생활이 담긴 '브이로그', 

'여행 영상'이나 '액체괴물 만들기' 등 취미 영상 

등을 즐겨 올린다. 실제로 '액체괴물 만들기'라고 

유튜브에 치면 수많은 청소년들이 영상을 올린 

것을 볼 수 있다. 

약 10여 년 전 청소년들이 싸이월드와 블로그에 

자신의 일상을 기록하고, 주변 일촌/이웃들과 

공유했다면, 이제는 유튜브에 영상을 만들어 

올리는 것으로 시대가 변했다. 

누구나 직접 참여, 제작, 공유할 수 있는 동영상 

플랫폼이 인기가 많아진 것도 이런 시대 흐름에 

따른 것이다.



유튜브에 '액체괴물 만들기'를 검색하면 볼 수 있는 영상들. 유튜브 캡처




수많은 영상 중에서 자신의 취향에 맞는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어, 보다 세분화된 니즈를 가진 것도 

Z세대의 특징이다. 

디지털 디바이스를 쉽게 다루기 때문에, 

취향에 맞는 콘텐츠가 없거나, 플랫폼 이용에 

불편함이 있으면 다른 플랫폼으로 바로 떠날 수 

있다는 것도 또다른 특징이라 볼 수 있다.  




/

왜 플랫폼 사업자들이 

Z세대를 잡아야 하는 걸까?



IT업계에 정통한 전문가는 미디어SR에 

"플랫폼들은 광고료로 돈을 번다. 

광고 장사를 하려면 소비자들이 오래 머물러 

있어야 한다. 그러려면 소비자들을 잡아끄는 

콘텐츠가 있어야 한다. 현재 그 콘텐츠가 

동영상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지금까지 사람들을 끌어모으는 주력 

콘텐츠가 텍스트였다면, 이제는 카메라, 인터넷, 

플랫폼 등의 발달로 동영상이 주력 콘텐츠가 

됐다"며 "주 콘텐츠 소비자이자 창작자가 되는 

Z세대는 동영상에 익숙하고, 동영상으로 

소통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콘텐츠를 다루는 플랫폼들은 결국 '주류'인 

동영상 콘텐츠로 경쟁할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

지금 Z세대를 사로잡은 건 유튜브.

각기 전략 펼치는 플랫폼들


Z세대는 전체 모바일 동영상 이용시간에서 

41.1%의 비중을 차지해, 동영상 콘텐츠의 

주 소비층이 됐다. 

이들이 가장 많이 쓰는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은 '유튜브'다. 



Z세대와 유튜브는 뗄레야 뗄 수 없는 

애플리케이션이다. 

닐슨코리아의 조사(2017.02) 결과, Z세대의 

86%가 유튜브를 사용한다. 

네이버 앱은 71%로 네이버보다 유튜브를 

사용하는 Z세대가 더 많다. 



가장 동영상을 오래 시청하는 Z세대의 86%가 

유튜브를 사용하고 있으니, 유튜브의 사용시간은 

승승장구하고 있다. 

앱 분석회사 와이즈앱이 5월 15일 밝힌 자료에 

따르면, 유튜브는 4월 기준 사용시간이 총 258억 

분으로 카카오톡(189억 분), 네이버(126억 분)

보다 월등히 높았다.


페이스북, 네이버TV, 카카오TV 등도 

동영상 플랫폼을 강화하는 움직임을 

보인다.


2016년 동영상의 '메가 트렌드'를 예언한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CEO에 따라, 페이스북은 

동영상 서비스를 대폭 강화해 이용자들이 

페이스북 안에 더 오래 머무를 수 있도록 

만들고자 했다. 

페이스북은 2017년 동영상 플랫폼 

'와치(Watch)'를 론칭했다. 

PC, TV, 스마트폰으로 취향에 맞는 영상을 

골라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페이스북은 

'게임 동영상' 탭을 통해 라이브로 게임 유저들의 

영상을 볼 수 있는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네이버TV는 창작자가 동영상 제작에 있어 

끊김 없이 라이브 진행을 할 수 있도록 

'프리즘 라이브 스튜디오' 기술을 확대 적용하고, 

시청자의 취향에 보다 적합한 동영상을 추천하기 

위해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는 등 기술 

개발/적용에 힘쓰고 있다. 

또한, 콘텐츠 다양화를 위해 2016년부터 3년간 

웹드라마, 웹예능, 게임, 키즈, 뷰티 5개 동영상 

콘텐츠 분야에 150억 원을 투자한다. 

투자 규모는 더욱 커질 예정이다. 



카카오 TV는 카카오TV는 카카오톡과 결합한 

유통 구조를 강점으로 갖고 있다. 

카카오TV는 카카오톡의 플러스 친구와 연동돼, 

카카오TV 이용자가 동영상 채널을 플러스친구로 

추가하면 해당 채널의 라이브 방송과 업데이트된 

영상을 카카오톡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주요 라이브 방송이 있을 경우, 카카오톡 

앱에 바로 뜨게 해 타 플랫폼에 비해 접근성이 좋다. 



카카오TV는 ‘대도서관’, ‘윰댕’, ‘도티’, ‘잠뜰’, 

‘밴쯔’, ‘허팝’, ‘김이브’, ‘디바제시카’, ‘이사배’ 

등 국내 정상급 크리에이터와 협업해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

동영상 플랫폼 3사, 

크리에이터 정책은?

 

김범휴 유튜브 파트너십 매니저의 사회로 대도서관(나동현), 씬님(박수혜), 소프(박준하) 등의 의견을 듣고있는 모습. 제공 : 위키미디어



동영상 플랫폼들은 예능, 드라마, 스포츠 등 

VOD 영상 외에도 개인 방송 크리에이터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표적으로 카카오TV는 유명 크리에이터 

`대도서관`, `윰댕`, `도티`, `잠뜰`, `밴쯔` 등 

국내 정상급 크리에이터들을 섭외해 카카오TV 

PD로 함께하고 있다. 

여기에는 크리에이터들을 유치하기 위한 기술적 

노력과 지원이 뒷받침되고 있다. 

일명 콘텐츠 창작자, 크리에이터들을 위한 

노력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을까?



관리자 페이지 모두 만족.

동영상 통해 새로운 창작 돕는 

기술 눈 여겨져.


구글은 물론 최근 관리자 페이지는 모두 만족하는 

모습이다. 24만가량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는 

크리에이터 에드머는 

"유튜브는 딱히 불편한 점을 못 느낄 정도로 

편리하다"고 평했다. 

이어 유튜브, 네이버TV, 카카오TV 모두 이용해본 

'꼬요야놀자' 채널 운영자 임소연 크리에이터도 "사용해본 모든 플랫폼이 불편함이 없었다. 

단지 같은 영상을 올렸을 때 반응 차이가 

있을 뿐"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네이버는 동영상을 활용한 2차 창작에 

필요한 기술 개발에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네이버 양하나 홍보실 대리는 "창작자가 동영상 

제작과 송출 과정에서 자신의 개성을 담고, 

끊김 없이 라이브로 방송할 수 있도록 

‘프리즘 라이브 스튜디오(PRISM LIVE 

STUDIO)’의 기술을 확대 적용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콘텐츠 창작자가 글로벌 라이브 

상황에서 영상이 끊기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필터, 

스티커, 배경음악 등을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 

‘프리즘 라이브 스튜디오’를 통해 다양한 

플랫폼으로 동시 송출이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크리에이터는 홍보가 필요해,

새로운 채널은?


네이버와 카카오는 시장 1위인 유튜브를 

견제하기 위해 자사의 다양한 플랫폼을 활용해 

크리에이터가 만든 영상을 유통시키고 있었다.


양하나 대리는 "네이버TV외에도 해외 비중 

70%로, 스타와 팬이 만나는 글로벌 동영상 

라이브 플랫폼인 ‘브이라이브’, 힙합, EDM중심의 

글로벌 뮤직 아티스트 플랫폼 ‘웨이브’를 

서비스 하고 있다"고 말했다.



카카오의 경우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팟플레이어를 활용하고 있다. 

카카오 커뮤니케이션팀 류현정 매니저는 

"카카오TV는 PC와 모바일, 메신저를 아우르는 

동영상 유통 구조를 갖췄다"며 

"이용자들은 카카오TV가 보유한 풍부한 동영상 

콘텐츠와 라이브 방송을 다음포털과 카카오톡, 

팟플레이어, 카카오TV 라이브 앱을 통해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TV는 유명 크리에이터와 기업 채널을 동시에 배열하고 있다. 카카오TV 캡쳐





/

B2B 중심 네이버,

창작자에게 플랫폼 열어둔 

카카오와 유튜브


새로운 크리에이터들에게는 네이버TV 보다는 

카카오와 유튜브가 더 유리하다. 

카카오와 유튜브는 카카오톡 아이디와 

구글 계정만 있으면 바로 영상을 올릴 수 있다. 


카카오 류현정 매니저는 " 라이브 방송은 

이제 별도로 설명하기 어려울 정도로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시장이다. 

철저한 모니터링으로 저작권이나 음란성 사행성 

방송을 24시간 필터링하고 있어 바로 계정을 

열어 줘도 문제 되는 사례는 없었다"고 강조했다.



반면, 네이버는 크리에이터 등록을 마쳐도 

네이버의 승인 없이는 채널을 개설할 수 없다. 

양하나 대리는 이와 관련 "영상의 질적인 부분도 

있고 기본적으로 네이버에서 노출되는 

콘텐츠들이 B2B 중심이므로 이러한 과정을 

거치고 있다"고 덧붙였다. 


 



/

크리에이터 지원 정책,

네이버는 중소 제작사, 

카카오는 창작자 보상 체계 마련


네이버는 웹 드라마, 웹 예능, 뷰티, 키즈, 

게임, 푸드 분야의 창작자와 중소 제작사들이 

양질의 컨텐츠를 선보일 수 있도록 지원책을 

운영 중이다. 



양하나 대리는 "웹드라마와 웹예능의 경우, 

컨텐츠 지원 범위를 더욱 확대, 지난해와 올해는 

2016년 대비 2배 이상 확대한 25.7억 규모로 

확대 지원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네이버 동영상 플랫폼을 통해 

유통되는 웹 드라마, 웹 예능 작품 중, 사용자 

지표 기준 우수작에 분기별(웹 드라마), 

월별(웹 예능) 창작 지원금을 지급하는 

<창작유통지원프로그램> 운영규모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카카오는 크리에이터에 대한 추가 보상 체계를 

마련하고 있다. 카카오 류현정 매니저는 

"PD 활동 성과에 따라서 4개 등급우로 나누어지며 

적극적으로 활동할 경우 추가 보상을 제공하고 

있다"며 "차등혜택보다는 크리에이터들의 

성취감을 느낄 수 있게 한 것"이라고 말했다.



구글의 경우 `온라인 크리에이터 아카데미`를 

전문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수익 창출을 위해서는 수입보다는 시청자를 

우선해야 하고 채널로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광고주 친화적 콘텐츠를 만드는 강의가 포함되어 있다. 

또, VIP 멤버십을 통해 추가 수익을 올리거나 

크라우드 펀딩으로 영상을 제작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웹소설 플랫폼 비교 (카카오페이지vs네이버시리즈)

코로나 19 속 미디어 산업 동향과 앞으로의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