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9 속 미디어 산업 동향과 앞으로의 전망

이미지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침체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광고시장도 예외가 아닙니다.  KBS는 광고매출 1 분기 목표 대비 164억 원 미달, SBS 광고매출은 전년도 1분기 대비 90~100억 원 감소, MBC 광고매출은 전년도 1분기 대비 93억 원 감소했습니다.  TV 광고 시장만큼은 아니지만, 모바일·온라인 광고 시장의 광고 규모 또한 감소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이번 글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매체 이용과 구매 행태의 변화, 코로나19 속 미디어 산업 동향과 광고시장 동향을 살피며, 얼어붙은 광고시장을 타파하기 위해 필요한 소비자, 이용자에 대한 본질적인 고민에 대해 논했습니다.  ​ 일상 곳곳, 산업, 경제, 시장, 사회 든 분야를 가리지않고 모든 영역이 코로나 19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광고 시장도 예외가 아니었는데, 그리하여 이번에는 이용자, 미디어 환경, 광고시장이라는 3가지 영역을 중심으로 <매체 이용과 구매 행태의 변화, 코로나 19 속 국내 외 미디어 산업 동향, 코로나 19 속 광고시장 동향>을 살피며, 포스트 코로나(post corona) 광고시장을 어떻게 맞이할 것인지에 대해 살펴봅니다.  코로나19가 미디어 · 광고시장에 미친 영향 (출처: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미디어광고연구소 연구위원, 권예지님) 매체 이용:  TV 시청 시간 급증, 프로그램 간  시청률 양극화, OTT 쏠림 코로나 19로 인해 생활 속 거리두기, 재택근무, 비대면 온라인 수업 등이 일상이 된 후, TV, 디지털 매체 및 콘텐츠 이용이 많아졌습니다.  특히 한국과 미국 모두 TV 시청 시간이 모든 연령대에서 현저히 늘었습니다.  2020년 2월 한 달 동안 개인의 TV시청시간은 16% 증가했고, 2월 첫째 주 TV 시청 시간은 225분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누적확진자가 두 자리 수에서 세 자릿수(602명)로 바뀌는 2월 셋째 주부터 개인의 TV 시청 시간...

[영상 플랫폼 전쟁2] 유튜브 vs 네이버 vs 카카오

이미지
저번 편에 이어, 콘텐츠 전쟁에 접어든 영상 플랫폼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국내 동영상 시장,  플랫폼 대전의 서막이 올랐다.  유튜브가 승기를 휘어잡은 가운데,  네이버와 카카오 등 국내 1~2위  플랫폼 사업자들이 고군분투 하는  모양새다. 넷플릭스와 페이스북 등   다른 글로벌 사업자들 역시도  공격적으로 진입하고 있다.  유튜브의 선전은  시사하는 바가 많다.  검색 마저도 유튜브를 거친다는  1020세대들을 통해 검색의  패러다임이 텍스트에서 동영상으로  전환되었다는 변화를 체감하게 된다.  유튜브의 절대적 강점은 즉각적이며  다양하고 광범위한 콘텐츠다.  국내 사업자에 비해 심의 및 제재  등에서 빠져나갈 수 있는 여지가  더 큰 글로벌 사업자의 독주에  국내 사업자들의 볼멘소리가  나올 수 밖에 없는 배경이다.  망 사용료 역시도 여전히  뜨거운 감자다.  과연, 국내 동영상 시장의 흐름에  반전이 일어날 수 있을까. / (출처: mediasr) 국내 영상 시장의 대세인 유튜브는 최근 프리미엄  서비스를 내놓았다.  지난 2015년 선보였던 유료 서비스 '레드'와  다른 점은 음악 감상이다.  광고 없이 영상을 볼 수 있고 음악을 들을 수 있다.  또 백그라운드 재생과 다운로드를 지원한다.  유튜브 자체 독점 콘텐츠도 시청할 수 있다. 기존 유튜브의 인기 동영상 중 상당수가  베보(VEVO)등 뮤직 비디오 스트리핑 플랫폼의  영상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유튜브의 본격적인  유/무료 음악 서비스 사업에 국내 여타의 음원  사이트들도 긴장하는 눈치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구태여 다른 앱을 또 거치느니  유튜브 앱을 이용하며...

[영상 플랫폼 전쟁1] 유튜브 vs 네이버 vs 카카오

이미지
오늘은 지난 다른 플랫폼들에 이어  소비자들로 하여금 가장 많은 수요를 보이는,  영상 플랫폼에 대하여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 유튜브가 흥행을 거듭하면서 국내 양대 포털도  동영상 서비스에 힘을 싣고 있다.  시장 1위인 유튜브 이용자들이 단순히 동영상  시청을 넘어서 검색의 도구로 활용하면서  플랫폼 사업자들의 경쟁은 더욱 심화하고 있다.  주요 영상 플랫폼 사업자는 어떤 전략으로  사용자들을 유인하고 있을까?  시장 1위인 구글의 `유튜브`와 네이버TV,  카카오TV를 사용자 입장에서 비교 분석했다. 철저한 '이용자 중심' 디자인 유튜브, '지상파 방송 중심' 네이버, '실시간' 강조하는 카카오 (출처: mediasr) 사용자 경험의 출발은 첫 화면이다.  PC 홈페이지를 기준으로 보면 3사의 서비스는  첫 화면에서부터 큰 차이를 보였다.  유튜브 는 사용자 중심 디자인으로 전면이  설계되어 있다.  최근 구독한 크리에이터의  영상을 최상단에 배치한다.  그 밑으로는 내가 주로 구독한 영상을 기반으로  관심 분야를 추정하여 주제별로 뿌려준다.  예를 들어 자주 듣는 음악 장르를 노출하는 식이다.  좌측 내비게이션 바에는 홈, 인기 구독 메뉴가  전부다.  나머지는 구독한 크리에이터의 채널로  채워진다. 구글 에서 유튜브 사용자 경험(UX) 디자이너  제니퍼 세라지는 이와 관련  "사용자 경험 디자인은  사용자와 만나는 공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좋은 디자인은 고객을 탐색함으로써 진화한다"고  말했다.  네이버TV 는 방송 콘텐츠를 전면에 배치한다.  주로 라디오스타, 한끼줍쇼 등 예능을 분 단위로  재편집해 쪼갠 영상을 배치한다.  배치되는 영상은 사용자에 따라...